EBS 초등 어맛! 과학 탐구 어휘 맛집
 
지은이 : 홍옥 (지은이), 미늉킴 (그림)
출판사 : EBS BOOKS
출판일 : 2023년 07월




  • 과학 공부도 기초 어휘와 용어 맛부터 익숙해져야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것이 과학인 시대, 과학 공부를 시작할 때 어휘의 뜻부터 찬찬히 살피다 보면 자연스럽게 개념을 이해하고, 원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과학 탐구 어휘 맛집


    들어가는 말

    과학 공부도 기초 어휘 맛부터 익숙해져 볼까?

    나뭇잎은 왜 대부분 초록색을 띨까? 지구는 왜 태양 주위를 돌고, 어째서 달은 밤마다 모양이 변할까? 비행기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지?


    우리는 눈에 보이는 자연 현상이나 기술을 만나면 왜 그런지 의문과 호기심을 가져요. 호기심은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좋아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에요. 과학을 공부하는 데 꼭 필요하지요. 뭔가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야 그걸 탐구하고 연구해서 답을 찾을 수 있으니까요.


    문제는, 궁금해하는 마음과 달리 과학이라는 분야를 접하면 자꾸 어렵고 복잡하다는 생각부터 하게 돼요. 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기도 전에 사용하는 말의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지요. 과학에서 쓰는 말은 특별히 용어라고 불러요. 용어는 어떤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말을 뜻하는데 전문적이라는 표현 자체가 낯설고 부담스럽게 다가올 수 있어요. 또 대부분 용어가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외국어로 되어 있어서 더 거리감이 생기기도 하지요. 과학이 점점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예요.


    하지만 과학 용어도 우리가 쓰는 어휘에 포함돼요. 무조건 멀리하지 말고, 어휘를 익힌다는 생각으로 접근해 보면 어떨까요? 특히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말들은 우리가 살면서 꾸준히 접하고 쓰는 기초 어휘들이 많아요. 어휘의 뜻을 찬찬히 살피다 보면 자연스럽게 개념을 이해하게 되고, 개념을 알면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용어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 한 예로, 엽록소는 잎을 푸르게 하는 색소라는 뜻이에요. 엽록소 때문에 나뭇잎이 초록색으로 보이는 거라고 이해할 수 있답니다.


    이 책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용어와 어휘를 정리하고, 어린이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듬었어요. 또 교과서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많이 접하고 있는 과학 기술과 환경에 관한 어휘들도 담았어요. 이들 어휘의 기본적인 뜻을 알고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피다 보면, 자연스럽게 나만의 익숙한 용어와 개념으로 자리 잡에 될 거예요. 여기에 여러분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더해 보세요. 즐거운 과학 생활이 이어질 것 같지 않나요?



    탐구와 실험의 맛

    화상을 조심해

    이런 뜻이 있어요

    시약: 시험할 試 + 약 藥

    화학에서, 어떤 물질의 성분을 알아내거나 양을 재는 데 쓰는 약.

    ->3개의 시험관에 시약을 각각 2방울씩 떨어뜨리세요.


    시약은 화학 실험에서 물질의 성분 등을 알아내는 데 쓰는 화학 약품으로, 시험약이라고도 해요. 참고로 지시약은 특정한 물질과 반응하여 변화를 일으켜 물질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시약이에요. 대표적으로 리트머스 종이가 있어요.


    가열: 더할 加 + 더울 熱

    물질에 열을 가함

    -> 물질을 끓이려면 가열 온도를 높여 보세요.


    가열은 말 그대로 어떤 물질에 뜨거운 열을 주어서 덥히는 거예요. 그러면 물질의 상태가 변하지요. 반대말은 식혀서 차게 함을 뜻하는 냉각이 있어요.


    내열: 견딜 耐 + 더울 熱

    높은 온도의 열에 견딤


    내열은 높은 열에 견디는 거예요. 실험할 때는 가열하는 경우가 많아서 플라스크나 시험관 등 내열 유리로 된 기구를 쓰고, 내열 장갑 등의 보호 장비를 갖추어야 해요.


    화상: 불 火 + 상처 傷

    불이나 뜨거운 것, 화학 약품 등에 데어서 피부에 생긴 상처.

    -> 촛불 실험에서는 촛농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실험하다가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알코올램프의 불이나 촛불, 화학 약품 등을 잘못 다루다가 생겨요. 화상을 입었을 때는 얼른 찬물에 덴 부위를 식혀 줘야 해요.


    감전: 느낄 感 + 번개 電

    전기가 통하고 있는 물체가 몸에 닿아 충격을 받음

    ->물기가 있는 손으로 전기 기구를 만지면 감전의 위험이 있어요.


    감전은 전류가 몸에 흘러서 충격을 받는 거예요. 한꺼번에 많은 전류가 흐르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어요. 젖은 손으로 전기 기구를 만지는 일은 절대 하면 안 돼요.


    유독성: 있을 有 + 독 毒 + 성품 性

    독이 있는 성질.

    ->실험실에서 유독성 물질은 특히 주의해서 다루어야 해요.


    유독성은 말 그대로 독이 있다는 뜻으로, 실험실에는 유독성 물질이 많아요. 잘못 다루면 중독되거나 잠깐 감각을 잃는 마취, 숨을 쉴 수 없는 질식 상태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물리의 맛

    두루의 무게와 질량 

    이런 뜻이 있어요

    질량: 바탕 質 + 헤아릴 量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양

    ->질량은 지구에서나 달에서나 그 값이 같아요.


    질량은 장소나 환경에 상관없이 그 물체가 지닌 고유한 양이에요. 전 세계가 약속한 값을 기준으로 삼아 재는데, 국제 도량형국에 있는 국제 킬로그램 원기가 1kg의 표준이에요. 단위는 kg(킬로그램), g(그램)으로 써요.


    무게

    지구가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로, 물체의 무겁고 가벼운 정도.

    ->지구보다 중력이 약한 달에 가면 무게가 6분의 1로 가벼워져요.


    무게는 물체의 무거운 정도를 가리키는 말로, 지구가 당기는 힘, 즉 중력의 크기와 같아요. 같은 물체라도 중력이 작은 달에서는 가볍고, 중력이 큰 목성에서는 무거워져요. 단위는 N(뉴턴), kgf(킬로그램힘, 킬로그램중)으로 나타내요.


    중력: 무거울 重 + 힘 力

    지구 중심이 지구 위의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

    ->지구가 끌어당기는 중력 때문에 우리가 땅 위에 서 있을 수 있어요.


    중력은 지구 위의 물체가 지구로부터 받는 힘이에요. 항상 지구 중심으로 향해서 모든 물체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랍니다! 만약 중력이 없으면 세상 모든 물체가 공중에 둥둥 뜨게 될 거예요.


    만유인력: 일만 萬 + 있을 有 + 끌 引 + 힘 力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도는 이유도 만유인력 법칙 때문이에요.


    모든 물체는 사실 서로 끌어당기는 힘, 만유인력이 있어요. 책과 책상,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있지요. 하지만 생활 속에서는 힘의 크기가 작아서 영향이 거의 없어요. 지구의 만유인력이 바로 중력이에요.


    진공: 참 眞 + 빌 空

    일정한 공간에 물질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것

    ->우주 공간은 진공 상태라 소리가 전달되지 않아요.


    진공은 공기 등의 물질이 전혀 없거나 텅 비어 있는 상태로, 흔히 우주 공간을 진공 상태라고 해요. 진공 보온병의 경우, 벽을 이중으로 만들어서 벽과 벽 사이의 공기를 빼내요. 그러면 병 안으로 열이 들어가거나 나가지 않아서 병 속 액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돼요.


    어맛! 말맛 살릴는 과학 어휘 퀴즈

    *아래 빈칸에 어울리는 말을 고르세요.

    ① 물체의 무게를 잴 때는 OO를 이용해요.

    힌트1_ 용수철의 성질을 이용해 무게를 재는 이것을 용수철 OO이라고 해요.

    힌트2_몸무게를 재는 데 쓰는 이것은 체중계라고 해요.


    저울

    마음

    양팔


    ② 물체의 균형을 잡으려면 OOOO을 찾아야 해요.

    힌트1_물체를 받쳤을 때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수평을 이루는 점을 말해요.

    힌트2_ 다른 말로는 중력 중심이라고 해요.


    질량 중심

    무게 중심

    음악 중심



    생물의 맛

    세포와 줄넘기

    이런 뜻이 있어요

    세포: 가늘 細 + 태보 胞

    생명체를 이루고 있는 기본 단위

    ->죽어야 할 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해서 분열하면 암세포가 돼요.


    세포는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예요. 얇은 껍질인 세포막에 둘러싸여 있고, 가장 안쪽에는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핵이 있어요. 세포는 둘 또는 여러 개로 갈라지는 세포 분열을 해요.


    근육: 힘줄 筋 + 고기 肉

    힘줄과 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근육을 통해 우리는 걷고, 뛰고, 달릴 수 있어요.


    근육은 몸속에서 뼈를 보호하고 몸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줘요. 뼈와 뼈를 연결하고 있는 힘줄이 오므라들고 펴지면서 움직이는 거예요. 몸속 내장 기관을 이루는 근육들은 우리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어요.


    순환 기관: 좇을 循 + 고리 環 + 그릇 器 + 벼슬 官

    몸속에서 혈액을 통해 산소, 영양분, 노폐물을 실어 나르는 기관.

    ->순환 기관에는 심장, 동맥, 정맥, 모세 혈관이 있어요.


    순환 기관은 혈액이 온몸을 돌아다닐 수 있도록 일하는 기관으로, 심장과 혈관이 해당해요. 심장은 펌프 작용을 통해 혈액이 동맥과 정맥, 모세 혈관으로 돌게 만들어요. 이들 순환 기관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병, 고혈압 등이 나타나요.


    소화 기관: 꺼질 消 + 될 化 + 그릇 器 + 벼슬 官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기관.

    ->소화 기관에는 입,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가 있어요.


    소화는 영양소가 몸속에서 잘게 분해되는 과정으로, 이런 역할을 소화 기관이 해요. 입에 들어온 음식물을 씹고 이동시켜서 소화액과 잘 섞이게 하는 기계적 소화와 위액과 같은 소화액을 사용해 더 작게 분해하는 화학적 소화를 해요.



    지구 과학의 맛

    일식 있는 날

    이런 뜻이 있어요

    지구: 땅 地 + 공 球

    태양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행성이자 인류가 사는 천체.

    ->지구는 약 46억 년 전에 탄생했어요.


    우리가 사는 지구는 태양계에 속해 있어요.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사는 유일한 천체이고 달이 주변을 돌고 있어요. 지구의 둘레는 약 4만 km예요. 주위를 질소, 산소 등의 대기가 둘러싸고 있지요. 지구는 바다가 약 70%를 차지해요.


    행성: 다닐 行 + 별 星

    중심 별을 돌며 스스로 빛을 내지 않는 천체.

    ->태양계는 8개의 행성이 있어요.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항성이라고 해요. 이 항성을 중심으로 주위를 도는 천체를 행성이라고 하지요. 태양계에는 태양을 중심으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8개 행성이 돌고 있어요.


    위성: 지킬 衛 + 별 星

    행성 둘레를 돌고 있는 천체.

    ->달은 지구 주위를 도는 지구의 위성이예요.


    위성은 지구를 도는 달처럼 행성 주변을 도는 천체예요. 지구의 위성은 달이 유일하지만, 화성에는 2개, 목성과 토성에는 각각 60여 개가 있어요. 목성의 대표적인 위성으로는 이오, 유로파 등이 있고, 토성에는 타이탄이 있어요.


    자전: 스스로 自 + 구를 轉

    천체가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도는 현상.

    ->자전의 중심이 되는 가상의 고정된 축을 자전축이라고 해요.


    행성과 위성은 자전을 해요. 지구에는 남극과 북극을 이은 가상의 자전축이 있어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데, 이 때문에 낮과 밤이 생겨요. 지구의 자전 속도는 약 1,600km/h로 엄청 빨라요.


    공전: 공변될 公 + 구를 轉

    한 천체의 주위를 다른 천체가 주기적으로 도는 현상.

    ->지구는 태양 주변을 1년에 한 바퀴씩 공전해요.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행성들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해요. 이 공전과 자전 때문에 계절과 별자리가 달라져요. 달은 지구 둘레를 평균 27.3일에 한 바퀴씩 돌아요. 밤마다 달의 위치와 모양이 달라진답니다.


    일식: 날 日 + 갉아먹을 蝕

    달이 태양을 가려 태양의 일부나 전체가 안 보이는 현상.

    ->옛날 사람들은 일식이 되면 달이 태양을 삼킨다고 생각했대요.


    일식은 태양-달-지구처럼,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에요. 개기 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려서 대낮이 한밤중처럼 어두워져요. 부분 일식은 달이 태양의 일부만 가리는 거예요.



    기술 과학의 맛

    유전자 가위라면? 

    이런 뜻이 있어요

    인공 태양: 사람 人 + 장인 工 + 클 太 + 볕 陽

    태양 광선과 비슷한 빛을 내도록 인공적으로 만든 태양.

    ->전 세계 과학자들이 인공 태양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요.


    인공 태양을 만드는 방법 중 첫 번째는 지구에서 핵융합 장치를 이용해 인공적인 빛이 나오도록 하는 태양을 만드는 거예요. 두 번째는 우주에 태양 빛을 반사하는 대형 반사경을 설치해 지구의 일부 지역을 밝히는 것이지요. 최근에는 첫 번째 핵융합 방식인 인공 태양 개발을 많이 하고 있어요.


    핵융합: 씨 核 + 녹을 融 + 합할 合

    가벼운 원자핵이 결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으로 되는 일.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요.


    핵융합은 수소 원자핵 4개가 합쳐져 헬륨 원자핵이 1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때 엄청난 에너지가 나와요. 태양이 핵융합으로 빛과 열을 내지요. 태양이 1초 동안 내뿜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면 인류가 약 1천만 년 동안 쓸 수 있어요.


    대체 에너지: 대신할 代 + 바꿀 替 + energy

    기존 화학 연료를 재활용하거나, 햇빛, 물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해 쓰는 에너지.

    ->오염 물질이 잘 발생하지 않는 맑고 깨끗한 대체 에너지를 청정에너지라고 해요.


    대체 에너지는 기존 에너지를 대신할 새로운 에너지예요. 석유, 석탄 등은 언젠가 고갈되는데다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지요. 그래서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핵에너지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 등의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있어요.


    게놈(genome)

    낱낱의 생물체 또는 1개의 세포가 지닌, 생명 유지에 필요한 유전자의 총량.

    ->과학자들은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약 30억 개의 게놈 정보를 알아냈어요.


    게놈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합성 용어로, 염색체 속에 들어 있는 유전 정보 전체를 말해요. 다른 말로는 유전체라고 해요. 인간의 세포 1개에 있는 46개(23쌍)의 염색체는 모두 31억 개의 염기쌍이 있고, 이 안에 약 2만 6,000~4만 개의 유전자가 있다고 해요.


    유전자 가위: 남길 遺 + 전할 傳 + 아들 子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자 생물학적 도구.

    ->2020년, 유전자 가위 기술이 노벨 화학상을 받았어요.


    유전자 가위는 인간과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에서 특정 염기 서열을 자르거나 붙이는 시스템이에요. 이를 통해 희귀 유전자를 없앨 수도 있고, 유전체를 교정하여 병을 치료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아직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았어요.



    * * *


    본 정보는 도서의 일부 내용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많은 정보와 지식은 반드시 책을 참조하셔야 합니다.